본문 바로가기

영상설교·8/박종순목사님

가톨릭, ‘야훼’ 단어 사용 않기로 (사라지고 있는 예수님의 이름)

 

 가톨릭, ‘야훼’ 단어 사용 않기로… “불경스러워”

[2008-10-18 06:43] 크리스천 투데이

가톨릭에서는 ‘야훼’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한국천주교회의는 17일 “하느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말자”는 취지에서

‘야훼’라는 단어를 쓰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교황청이 보내온 지침에 따른 것으로,

13~16일 열린 주교회의 추계정기총회에서 결정된 것이다.

이에 따라 가톨릭에서는 앞으로 모든 공문서에서 ‘야훼’ 대신 ‘주님’이라는 표현을 쓸 방침이다.

송경호 기자 khsong@chtoday.co.kr

 

 

조선일보 

 

하느님의 이름 직접적으로 부르지 않겠다는 뜻

기사입력 2008-10-18 05:29 기사원문보기
광고
 
천주교 '야훼' 사용 않기로… "교회 전승에 충실"

천주교가 앞으로 공식 전례(典禮)에서 '야훼'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것은 하느님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부르지 않겠다는 것이다. 자음으로 이뤄진 이 네 글자를 거룩하게 여긴 유대인들은 이 단어를 발음하지 않았다. 대신 성경에서 이 네 글자가 나오면 '주님'이란 뜻의 '아도나이(Adonai)'라고 읽었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예식서 담당 심규재 신부는 "성경을 히브리어에서 그리스어로 번역할 때에도 'YHWH'라는 단어는 따로 번역을 하지 않고 '네 글자'라고만 옮겼다"고 말했다.

천주교는 2001년부터 '야훼'의 사용을 제한했다. 전세계 천주교의 성사(聖事)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교황청 경신성사성(敬信聖事省)은 지난 2001년 발표한 훈령을 통해 "히브리 말로는 네 글자 YHWH, 라틴 말로는 Dominus라고 표현되는 전능하신 하느님의 이름은 다른 어느 언어로도 똑같은 뜻을 지닌 낱말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네 글자를 음독(音讀)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언어권에 따라 'Yahweh' 'Yahw�' 'Jahweh' 'Jahw�' 'Jave' 'Yehovah' 등 다양하게 발음되고 표기되고 있다. 그러자 이번 지침을 통해 교황청은 'YHWH'의 사용을 보다 강력히 금지한 것이다. 교황청은 지침에서 "단순히 언어학적 체계뿐만 아니라 언제나 교회 전승에 충실하려는 것"이라며 "처음부터 그리스도교에서는 거룩한 네 글자를 발음하지도 않았고 성경을 번역하는 어느 언어로도 옮기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교황청의 조치는 그러나 공식 전례에 국한된다. 심규재 신부는 "개인적으로 기도하는 등의 경우까지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개신교에서는 현재 '야훼'에 해당하는 '여호와'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김한수 기자 hansu@chosun.com]


조선일보 

 

[만물상] '야훼'

기사입력 2008-10-19 23:08 |최종수정2008-10-20 10:20 기사원문보기


모세가 이집트에서 고난을 겪던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탈출하여 홍해를 건너고 광야를 방황한 뒤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에게 계명과 율법을 받는 과정을 기록한 구약성서 '출애굽기' 3장 15절은 이렇게 씌어 있다. "하느님께서 다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이렇게 일러라. 너희 선조들의 신, YHWH가 나를 너희에게 보냈다. … 이것이 영원히 나의 이름이 되리라. 대대로 이 이름을 불러 나를 기리게 되리라."

▶'거룩한 네 글자'라 불린 YHWH는 히브리어 구약성서에 많이 등장한다. 그러나 유대인은 성서를 읽다가 이 단어가 나오면 직접 발음하지 않고 '아도나이(Adonai·주님)'나 '엘로힘(Elohim·하느님)'이란 단어를 사용했다. 십계명 중 세 번째인 "하느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부르지 말라"를 지키기 위해서였다. 이를 따라 그리스어 구약성서와 라틴어 구약성서도 YHWH를 각각 주님을 뜻하는 '퀴리오스(Kyrios)'와 '도미누스(Dominus)'로 번역했다. 영어 구약성서도 '로드(The Lord)'이다.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YHWH를 어떻게 읽는지는 오랜 논란이었다. 7~10세기 히브리어 성서를 재정리한 마소라 학자들이 YHWH와 아도나이·엘로힘의 모음을 결합해서 'YeHoWaH(여호와)'라고 읽은 이래 여호와가 보편적인 발음이 됐다. 그러나 초기 기독교 학자 중에도 'YaHWeH(야훼)'로 읽어야 한다는 사람이 있었고, 19세기 이후 성서학자들은 야훼가 옳다고 봤다. 기독교 안에서도 가톨릭은 야훼, 개신교는 여호와를 사용해 왔다.

천주교가 미사나 성가·기도 등 공식 전례에서 '야훼' 대신 '주님' 또는 '하느님'을 사용하기로 했다. 교황청이 최근 하느님에 대한 공경의 뜻으로 그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기로 다시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유대교·기독교의 전통을 계승한다는 의미와 함께 한 단어를 여러 가지로 발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뜻도 있다. 한국 천주교는 이미 2006년 성경을 다시 번역하면서 '야훼'를 '주님'으로 바꿨었다.

▶우리 개신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한글개역판 성경은 '여호와'로 돼 있다. 영국의 킹제임스성경과 미국표준성경에 '여호와(Jehovah)'가 사용된 흐름을 이어받은 것이다. 하지만 최근 세계적 추세는 '주님'으로 바뀌고 있다. '야훼는 나의 목자(牧者)'란 성가(聖歌)가 '주님은 나의 목자'로 바뀔 날이 멀지 않았다.

[이선민 논설위원 smlee@chosun.com]

 

 

 

국민일보 

 

[겨자씨] 이름값

기사입력 2008-10-20 18:27 기사원문보기

최근 교황청에서

하나님의 이름인 '야훼(여호와)'를 공식 예전이나 공공예배에서 함부로 쓰지 말도록 지침을 내렸다. 대신 '주님'이라는 표현을 쓸 방침이라고 한다. 본래 하나님은 인간의 언어로 표현되는 이름이 없다. 이름을 묻는 모세에게 "나는 나다"라고 하신 뜻을 히브리어로 모음 없이 자음으로만 쓴 게 'YHWH'인데 이것을 각국어로 조금씩 달리 발음하다 보니 우리말로 '여호와'로 부르는 것이다. 그러나 히브리인들은 그런 발음조차 삼가며 "아도나이(주님)"라고 부르고, 헬라어로 쓰인 신약에서는 "키리오스(주님)"라고 일컫는다.


인간의 욕심을 채우려고, 자기 정당화를 위해 신의 이름을 도용하거나 예배의 주인을 도구로 삼는 것은 큰 죄악이다. 차라리 자신의 이름을 실명으로 대고 하나님과 이웃들 앞에 값을 매기게 하자. 차명과 가명을 버리고 진실하고 투명하게 '나는 나'임을 밝히는 그리스도인이 되자.

박종화 목사(경동교회)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본문: 성경대로 살기 , 저자 : 김성일 장로

 

 

 우리 모든 성도들은 마지막때까지 [예수의 이름]을 사수 할 의무가 있습니다..  

 

 사라지고 있는 예수님의 이름

 

 이세상은 아마겟돈의 대회전을 향하여 질주하고 있을때 바다에서 나온 짐승 (계 13:1 ) 적그리스도는  백마를 타고 오시는

 예수그리스도(계19:11)와 대적하기 위하여 이미 맹렬한 준비를 시작하였습니다.

 이 사탄의 아들이 가짜 그리스도가 되어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님과 대적하려면 우선 이 세상에서 없애버려야 할 것들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곧 적그리스도의 세계 지배전략을 낱낱이 폭로해 놓은 요한계시록과 역대 선지자들의 기록들.....

 그리고  예수님의 예언과  그 제자들이 남겨 놓은 기록(성경)들이며 그것을 독실하게 믿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이었던 것입니다.

 
 이 신실한 그리스도인들과 그 세력을 괴멸 시키려면 우선 그들 가운데서 [예수님의 이름]을 없애리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여 사탄의 지휘부는 이미 이 세상에서 예수님의 이름을 없애 버리는 공작을 개시했던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이 사탄의 흉계가 매복하고 있는 이 험난한 세상을 헤치며 전진해 나갈 때 가장 강력하고 유일한 무기는

 바로 기도 입니다. 기도는 사탄의 모든 방해공작을 깨뜨리는  천사의 능력이 되는 것입니다.

 

 (향연이 성도의 기도와 함께 천사의 손으로부터 하나님 앞으로 올라가는지라 천사가 향로를 가지고 단위의 불을 담아다

 땅에 쏟으매 뇌성과 음성과 번개와 지진이 나더라. (계 8:4~5))

 (제자들이 종용히 묻자오되 우리는 어찌하여 능히 그 귀신을 �아내지 못하였나이까.  이르시되 기도 외에 다른

  것으로는 이런 유가 나갈 수 없느니라..)(막 (: 28~29)

 

 또 그리스도의 군사들을 마구 쓰러뜨리는 질병을 몰아낼 때에도 기도는 가장 강력한 처방입니다.

 (믿음의 기도는 병든 자를 구원하리니.. 주께서 저를 일으키시리라.)(약5:15)

 
 그러므로 바울은 그리스도의 군사들이 항상 기도에 힘써서 승리해야 함을 강조 하였습니다.
 (모든 기도와 간구로 하되 무시로 성령안에서 기도하고 이를 위하여 깨어 구하기를 항상 힘쓰며 여러 성도를 위하여

 구하고 ...) (엡 6: 18)..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군사는 성령의 검으로 무장해야 하는데 (엡 6:17) 성령이 충만하기 위해서도  역시 기도가

 필요합니다.. 마가의 다락방에서 성령을 받은 1백 20명의 성도는 모두 간절한 마음을 모아 기도하는 중에 성령을

 받았습니다. (... 마음을 같이하여 전혀 기도에 힘쓰니라.) (행 1: 14)


 뿐만 아니라 베드로는 특히 주님의 재림이 가까운  마지막 때에  정신을 차리리 기도하라고 권면하였습니다.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왔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여 기도하라.) (벧전 4:7)

 
 이렇게 기도는 그리스도인이 마귀를 대적하는 가장 강력하고 유일한 무기인데.. 그기도는 바로 [예수그리스도의 이름]

 으로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탄의 사령부가 이세상에서 예수님의 이름을 말살하려는 공작은 바로  예수님의 군대를

 원천 봉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작전이며 정곡을 찌른 전략이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사탄의 세력들은 지구상에서 이 예수님의 이름을 추방하는데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사탄이 이세상에서

  예수님의 이름을 없애버리기 위한 첫번째 작전은 그 [예수]를 모두다 [그리스도]로 바꿔 버리는 일이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누구나 예수님께서 그리스도 이심을 당연히 여기기때문에  언뜻 보아서 우선 예수를

  그리스도로 바꾸는데  아무런 문제도 없는것 같습니다..

 

 그러나 여기에도 문제는 있습니다. .. 헬라어의 [그리스도]란 말은 히브리어의 [메시아]로 번역한 말로써[기름부음을

 받은자]를 의미하며 이는 물론 기름 부음을 받은 왕이요. 선지자요. 제사장이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를 의미하지만 

 그것이 곧 예수님의 이름이 아닌것 입니다... 즉 그리스도라는 말은 이름이 아닌 보통명사로써 누구라도 그 명칭을

 자신에게  붙여서 사칭 할수 있으며 마지막 때에는 더디어 예수님께서 그리스도임을 부인하는 사탄의 아들

 적그리스도가 나타나는데..이는 곧 가짜 그리스도로 오는것입니다.(요일 4:3 )

 

 그러므로 예수님이라는 이름이 없이 그냥 그리스도만을 부를때 그것은 가짜 그리스도에게도 해당될수 있다는 위험이

 생기는 겁니다.. 이렇게 예수를 그리스도로 바꿔치는 일들이 이미 카톨릭의 기도문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카톨릭에서는  여러가지 기도의 사례를 골라서 기도문을 제정,보급하고 그것에 기도하도록 권면하고 있는데 놀랍게도

 그 기도문들은 모두가 다음과 같이 끝나고 있습니다...

 

[,.....우리 주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비나이다. 아멘]

 

 아마도 예수의 이름을 부리기가 황송해서 그냥 그리스도라고만 했을지도 모릅니다...실제로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못하여 그냥 주님이라만 불렀던것입니다...그러나 자신의 이름을 그대로 부를수 있도록  이세상에 오신

 예수님께서는  이미 너희는 나의 친구 이며. 이는 내 이름으로 아버지께 구하게 하려 함이라고 밝혀 놓으셨습니다..

 (요 1:15~16)

 

 카톨릭의 기도문처럼 예수님의 이름을 그리스도로 바꾼 사례들은 다시 저 크리스마스 카드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애초부터 크리스마스라는 말은 바로 예수의 탄생일이 아닌 그리스도의 탄생일을 의미하는것이였습니다..

 그러다가  Christmas의 Christ는 헬라어 그리스도의 머리인 X로 바뀌어서 X-MAS 가 되었습니다..

 결국 그리스도의 이름은 장치 나타날 적그리스도인.Mr.X가 되어버렸습니다.

 

 이 크리스마스 카드에서 최근에는 더 노골적인 예수님 없애기 작전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도 얼마전까지는 크리스마스  

 카드에 구유에 누인 아기 예수님의 그림같은것이 그려져 있곤 했는데.. 이제 카드에서 아기 예수의 그림은 눈을씻고 

 보아도 찾을수 없게 되었습니다.아기 예수뿐만 아니라 아예 교회그림이나 예배드리는 아이들의 그림같은것도 없다.

 온통 카드로 채우고 있는 것은 선물보따리를 가득 짊으진 산타클로스와 사슴과 그리고 이름 모를 짐승들만이

 가득차 있습니다... 거기 써 있는 글씨들도 이미 옛날처럼 [Merry Chistmas]가 아니라

 [Season's Greetings]거나  [Happy Holidays]로 되어 있습니다..

 [예수] 그 이름은 이 시대에 매우 낮선 이름으로 되어가고 있습니다...


 주의 이름을 부르는자는 이제 [예수]의 이름을 없애기 위하여 예수님를 그리스도로 바꿔치기 했던 사탄의 작전은

 그 두번째 단계에 접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자들의 무기는 기도이고 그 기도는 예수님이름으로  드리는

 것인데. 이제 그 기도에서 예수님의 이름을 빼버리기 시작한것입니다..언제부터인가 예배시간에 대표기도를 드리는

 목사님들이나 장로님들이 이 [예수의 이름]을 [주님의 이름]으로 바꾸기 시작한것입니다..

 

 예수님이란  이름을 잘 안쓰다보니 쑥스러워진 것인지 어색해진것인지 모르지만 [주님의 이름으로 기도 드립니다.]하는

 표현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와  마찬가지로 위험한것입니다.. 물론 우리는 예수그리스도를 주님으로 섬깁니다..

 그러나 이 주님에는 두가지 문제가 있습니다.우리는 삼위일체 의 하나님을 섬기고 있으므로 성자이신 예수님도  우리의

 주님이 되시고 성부이신 하나님도 주님이 되십니다.. 그러나 기도를 드릴때에우리가 기도를 드리는 상대는 기도를

 받으시는 성부 하나님이십니다.. 그 하나님께 기도를 드릴때. 우리는 자신을 드려 하나님과의 통로로 열어주신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리는것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렇게 하라고 가르치셨기 때문입니다.

 

 [그날에 너희가 내 이름으로  구할 것이요..] (요 16: 26)


 우리는 하나님을 주님으로 섬기고 하나님과 대화할때 늘 [주여]하고 부르므로 거기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

 세계의 기도문은 모두 [주님의 이름으로 기도 드렸습니다] 로 끝나고 있었습니다..물론 이해가 깊으신  하나님께서 앞쪽의

 주님은 하나님으로 , 뒷쪽의 주님은 [예수님]으로 알아 들으셨을 터이니 그렇다면 문제가 없다고 할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주님]이 예수의 이름과 대치 되는 데에 문제가 있습니다..

 

 

 [주님] 이란 히브리어의 [아돈] 헬라어의 [큐리오스] 라틴어의 [도미누스]가 모두 종이 그 주인을 부를때에 쓰는

 말입니다.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모두 하나님께  부름 받는 일꾼들이니 하나님을 부를때 당연히 [주님]이라고 부를수

 있습니다.그러나 마지막때 적그리스도가 나타나게 되면 그도 역시 남겨진 성도들에게 그렇게 부를것을 요구할것입니다.

 실제로 사도 요한이 밧모섬에서 계시록을 기록할때 적그리스도의 모형이 되었던 도미티아누스황제는 자신을

 [주님이시며 신 ](Dominus et Deus) ] 이신 황제 페하라고 부르게 했습니다.

 

 

 장차 사탄의 아들인 적그리스도가 세계를 지배하게되고 거짓선지자가 통일된 세계 종교를 관장하여 그에게 예배를

 드릴때 그의 기도문은 어떻게 될것인가?  지금까지의 습관 때문에 기도가 끝나려면 뭔가 마무리말이 있어야 합니다..

 지구상의 많은 사람들에게 [... 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가 귀에 익었기에  결국 통일종교의 거짓선지자는  기도의

 끝에다가  주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를 넣게 될것입니다. 잘못 된것을 알면 빨리 고쳐야 합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조금 세련된 기도를 드린다고 하다가 사탄의 계락에 협조하는 수가 있게 됩니다..

 우리 모든 성도들은 마지막때까지 [예수의 이름]을 사수 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들을 불러 경계하여 도무지 예수의 이름으로 말하지말고 가르치지도 말라 하니  베드로와 요한이 대답하여 가로되

 하나님앞에서 너희 말 듣는것이 하나님 말씀 듣는것보다 옳은가 판단하라.( 행 4: 18~19 )

 

 이 이름은 우리의 유일한 구원의 길이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귀한 이름이였습니다..

 (다른 이로서는 구원을 얻을수 없나니 천하 인간에 구원을 얻을만한 다른 이름은  우리에게 주신일이 없음이니라.)(행 4:12)

 (누구던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자는 구원을 얻으리라)(롬 10 :13 )

 

 비록 그 이름이 부르기에 촌스럽더라도 상관없고 사람들이 업신여겨도 부끄러워 할것 없습니다.. 우리를 위하여 피를

 흘리신 저 골고다의 십자가위에 적혀 있던  이름이 바로 [유대인의 왕 나사렛 예수] 였기때문입니다.. 예수의 이름만이

 우리를 구원할수 있습니다. 그 이름이 아니면 우리가 교회에 다니는것도 헛것이고 모든선행과 봉사도 헛것입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이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언제나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해야 합니다.. 어떤 엄격하신 목사님들은

 아에 [나사렛 예수그리스도 ]의 이름으로 기도드리는 것을 우리는 가끔 듣습니다.. 예수님이란 이름도 동명이인이

 있을수 있으니 아예 출신지까지 붙혀서 정확하게 하려는것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베드로도 저 예루살렘 성전 미문

 앞에서 앉은뱅이를 잡아 일으킬때에 그렇게 기도했습니다.

 

 (은과 금은 내게 없거니와 내게 있는 것으로 네게 주노니.. 곧 나세렛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걸어라...!)

 우리 모든 성도들은 마지막때까지 [예수의 이름]을 사수 할 의무가 있습니다..  

 사라지고 있는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을 많이 불러주세요.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