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국과지옥2/말세 징조·1

[스크랩] "엄마! 내가 친구를 죽였어" 13세 소녀 범죄 `경악`

"엄마! 내가 친구를 죽였어" 13세 소녀 범죄 '경악'

 

뉴시스

살인미수 피해학생의 팔의 흉터 사진


피해자 어머니가 인터넷에 호소 글 올려

'양극성 장애자 살인 미수' 네티즌 와글와글

【강원=뉴시스】박선애 기자 = 양극성장애를 앓고 있는 여학생이 자신의 집에서 친구를 대상으로 살해를 시도한 사건이 발생돼 충격을 주고있다.

지난 21일 아고라에는 '딸 아이가 당한 사건'이라며 피해 학생 어머니가 쓴 장문의 사건 내용과 폭행 사진이 게시됐다.

피해 학생의 어머니는 글을 통해 "친구 집에 놀러간 딸이 가해자 아이가 내려 친 유리병에 맞아 쓰러졌고 뒤이어 흉기로 딸 아이의 신체에 위협을 가하는 등 당시 만 13세의 아이가 저지른 행동이라고 믿기지 않을 만큼 잔인한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가해자 아이가 '너는 죽어야 된다, 죽을 때까지 찌를 것이다'라고 말하며 죽었는지 재차 확인을 하는 등 흉기로 찌르 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고 딸에게 전해들은 말을 옮겼다.

또 "미리 준비한 흉기를 이용해 딸 아이의 오른쪽 팔과 손목 등에 상처를 냈고 심장이 어딘지 짚어보라며 교복 단추를 풀라고 했다"는 내용도 담겨 있었다.

이밖에도 "가해자 아이가 딸의 귀를 자르며 혼잣말로 '사과 자르는 기분이네'라며 중얼거렸다"며 "옆구리와 양쪽 폐에도 흉기에 찔려 호스와 소변줄을 달았고 한쪽 폐는 구멍이 뚫려 바람이 빠진 상태"라고 적었다.

피해자인 아이가 죽은 척을 하자 그제야 피가 묻은 바닥과 가구 등을 수건으로 닦은 뒤 자신의 어머니에게 전화를 걸어 "엄마! 친구가 죽었어, 내가 친구를 죽였어"라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피해자의 어머니는 당시 딸이 병원에 실려왔을 때 얼굴과 교복 등이 피범벅이 됐었고 저체온과 혈압까지 떨어진 상태였다고 회상하는 글도 적었다.

딸의 현재 상태에 대해 어머니는 "이제는 소변줄도 빼고 호스도 빼고 많이 호전됐지만 아직까진 정신적인 충격이 커 엄마가 옆에 없으면 너무 불안해 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딸과 함께 둘이 살고 있어 주위에 나서서 도와줄 사람이 없다"며 "이 글을 보시는 변호사님이 계신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얘기해 달라"고 말했다.

아고라에 올라온 2만명 서명운동은 이미 목표를 달성한 상태이며 24일 오후 5시 기준 2만4481명이 서명했고 게시글은 현재 지워진 상태이다.

뉴시스 취재결과 해당 사건은 지난해 4월20일 부산시에서 발생했으며 당시 같은 모 여중, 학원에 다니고 있던 강모(12)양은 학원 쉬는 시간을 이용해 자신의 집에서 저녁을 먹자는 이모(13)양의 집에 놀러갔다가 이 같은 사고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 강양은 사건이 1년 넘은 지금까지도 정신과 치료 및 성형외과 등에서 외상 치료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에 따르면 사건은 이양이 앓고 있던 '양극성장애'로 인해 발생했으며 사건 이후 이양은 정신병원에 입원, 치료를 받았고 기소의견으로 소년부에 송치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양이 앓고 있다던 양극성장애(bipolar)란 조증과 우울증이 교대로 또는 조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장애를 뜻한다.

충격적인 사건을 접한 한 네티즌은 "촉법소년…만14세 미만은 형법상 어떤 처벌도 받지 않게 되지요. 이제 제한 연령을 좀 낮춰도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또 김수진씨는 "요새 애들 예전같지 않게 무서울게 없다는 건 알았지만 이건 허구의 영화나 소설, 만화, 게임보다 잔인하다"고 했다.

이렇듯 현행법 상 만 14세 미만은 형사처벌이 불가능하며 이들은 '촉법(觸法)소년'에 해당돼 강력범죄를 저지른다 해도 형사처벌을 받지 않고 있어 소년범의 처벌 규정을 강화하자는 논란은 앞으로도 끊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법원 행정처가 발간한 사법연감에 따르면 소년범죄는 해마다 증가해 지난 2002년 2564명에서 2011년 3924명으로 큰 폭으로 늘고 있다.

법무법인 바른의 김종수 변호사는 "(소년범죄를) 초기에 잡지 않고 관용만 베풀면 아이들이 죄 짓는 데 대해서 무감각해지고 더 큰 죄로 이어지며 이로 인한 사회적 폐해나 비용은 더 커질 것"이라며 "도덕, 윤리 등 공교육을 강화는 물론 가정교육 등 교육시스템을 법제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parksa@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