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article/021/0002598947 ■ ‘포상 심사기준’ 논란 ‘광복후 사회주의 활동’ 43명 2018년 기준 개정되며 포상 그 중 4명은 北정권수립 기여 윤한홍 의원 “문정부의 내편 만들기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과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광복 후 사회주의 활동자’ 43명 중 최소 4명이 개정된 심사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8년 6월 개정된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기준에는 광복(1945) 이후부터 정부수립(1948) 이전까지 사회주의 활동 참여자도 독립유공자 포상이 가능하도록 했다. 그러나 심사 제외 대상인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 및 적극 동조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까지 독립유공자 포상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원실에 따르면, 2018년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A 씨는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에 참여하는 등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했다. 여순사건 당시 화양면 인민위원장을 맡았던 B 씨는 과거 두 차례 탈락했다가 2019년 서훈을 받았다. 4·3사건 주동자이자, 해방 후 남조선노동당(남로당) 활동을 했던 C 씨는 과거 5차례 심사에 탈락했다가 2019년 서훈을 받았고,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남로당 활동을 하고 4·3사건에 연루됐던 D 씨는 한 차례 탈락했다가 2019년 서훈을 받았다. 당시 서훈 심사기준 완화 연구용역에 참여한 연구진 6명 중 최소 4명이 진보·민주당 관련 인사로 파악됐다. 2018년 김원봉의 독립유공자 서훈을 시도했던 보훈혁신위원회 위원 역시 13명 중 12명이 진보·민주당 관련 인사였다. 윤 의원은 “문 정부의 노골적인 내 편 유공자 만들기로 공산주의자를 독립유공자로 둔갑시켰다”며 “보훈부는 심사기준을 재개정해 서훈된 유공자들에 대한 재검증을 실시해 가짜 유공자 논란을 불식시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보름 기자(fullmoon@munhwa.com) |
'시국게시판 > 시국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거조작 의혹 눈감아준 언론들, 이제는 깨어날 시간" (0) | 2023.10.19 |
---|---|
결정적 조작증거! 선관위 범죄 현장 포착!! (0) | 2023.10.15 |
표 맛사지 이렇게 한다 (0) | 2023.10.15 |
선관위가 한동훈 덫에 걸린거임 (0) | 2023.10.15 |
[스크랩] 문재인 5년 408조 빚내서 과잉복지” 1년 이자 28조, 정신차려라 국민들아 (0) |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