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국과지옥2/말세 징조·3

[중앙일보] 미국, 싸늘한 반한 여론 …동포들 우려가 현실로

카페회원들의 안전을 위해 운영진이 팝업, iframe 태그를 제한 하였습니다. 관련공지보기


미국, 싸늘한 반한 여론 … 동포들 우려가 현실로 [중앙일보]

한국에서 발생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를 보도한 26일자 USA 투데이 웹사이트 화면. 한 미국 네티즌이 ‘그들(한국인)은 나쁜 사람들이다’라고 써놓은 댓글이 보인다. [USA 투데이 웹사이트 캡처 화면]
미국 뉴욕한인회는 이달 초 한국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두둔하는 성명을 냈다 큰 곤욕을 치러야 했다. 홈페이지에 “뭘 안다고 나서느냐”는 식의 온갖 비난과 저주에 가까운 욕설이 쏟아져 마비될 정도였다.

그러나 뉴욕한인회의 성명에는 누구도 토를 달 수 없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한국과 한인들을 바라보는 미국인들의 눈길이 싸늘해질 거란 걱정이었다. 뉴욕한인회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일부 세력 때문에 한국과 한인들에 대한 인상이 안 좋아진다”고 걱정했다. 당시만 해도 미국에선 한국 내 분위기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떠오르지 않았던 때다.

그런데 뉴욕한인회의 우려대로 최근 들어 미국 언론들이 한국의 촛불시위를 비중 있게 다루기 시작하더니, 삽시간에 미국 내에 반한(反韓) 여론이 확산되는 기색이 역력하다. 미국의 주요 신문·방송 웹사이트에는 댓글을 다는 독자 의견란이 없다. 댓글 문화의 부정적인 면을 감안한 조치다. 예외라면 USA 투데이 정도인데, 26일(현지시간) USA 투데이의 한국 촛불시위 기사에는 60여 건의 댓글이 붙었다. 한국 네티즌이 올린 듯한 시위 옹호성 글도 간혹 보였지만 노골적으로 한국을 탓하는 댓글이 대부분이었다. “미국산 쇠고기를 들여오지 않겠다 하니 우리도 한국의 2류 자동차를 수입하지 말자”는 식의 보복 촉구성 주장이 적지 않았다. “좁은 땅에서는 충분한 식량을 생산할 수 없을 테니 아예 먹거리 수출을 금지했다가 한국인들이 굶주리면 멋대로 값을 올리자”는 독한 얘기도 나왔다.

지난해 버지니아공대 조승희 총기난사 사건이 터졌을 때와 대조적이다. 당시 미국 교민들은 한인사회에 쏟아질 비난과 보복 걱정으로 공포에 떨어야 했다. 그러나 의외로 미국 내 주류 사회의 반응은 담담했고 조승희 사건은 별 후유증 없이 넘어갔다.

그러나 이번에는 사뭇 다르다. 냉랭한 분위기가 일반 국민을 넘어 정치권으로 퍼지는 모양새다. 유력한 민주당 대선 후보인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도 15일 한국, 일본과의 쇠고기 협상과 관련해 “미국은 훨씬 더 강하게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 논란이 어떻게 정리될지 아직은 분명치 않다. 그러나 미국 사회 곳곳에서 반한 감정이 일기 시작했다는 건 절대 놓쳐선 안 될 대목이다.

남정호 뉴욕 특파원



 

GE 이멜트 회장, 휴대폰 3개 가지고 한국에 온 까닭은
[중앙일보] 사업 필수품 블랙베리 여기선 못 쓰잖아요 글로벌 한국 이래서야 … “한국에선 ‘블랙베리’를 쓸 수 없어 따로 휴대전화 세 개를 가지고 왔다.” 제너럴일렉트릭(GE)의 최고경영자(CEO)인 제프리 이멜트(53·사진) 회장의 말이다. 블랙베리란 캐나다의 리서치인모션(RIM)이 개발한 휴대전화로 e-메일까지 확인할 수 있어 미국이나 유럽에서 비즈니스맨의 필수품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국내에선 정보통신부(현 방송통신위원회)의 ‘국내 출시 휴대전화는 무선인터넷 플랫폼(WIPI)을 탑재해야 한다’는 규제 때문에 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멜트는 “한국은 글로벌 시장에 온갖 최첨단 정보통신(IT) 상품을 팔지만 정작 서울에서는 해외에서 유행하는 휴대전화조차 쓸 수 없는 환경”이라고 지적했다. 한국 시장의 보이지 않는 규제를 꼬집은 말이다. 이멜트 회장은 28일 한국능률협회 초청으로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국내외 CEO 800여 명을 대상으로 ‘GE의 성장 전략과 글로벌라이제이션, 그리고 리더십’이란 주제의 강연 자리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글로벌 리더가 되길 원하지만 개방과 보호주의의 이중성에 가로 막혀 있는 것 같다”며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