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칩 [biochip] 출처 : IT용어사전 생물의 효소, 단백질, 항체, DNA, 미생물, 동식물 세포 및 기관, 그리고 신경 세포 등과 같은 생체 유기물과 반도체 같은 무기물을 조합하여 기존의 반도체 칩 형태로 만든 혼성 소자(hybrid device). 종류로는 바이오센서, DNA 마이크로어레이, 단백질 칩, 셀 칩, 뉴론 칩과 생체 삽입용 칩, 랩 칩(lab-on-a chip) 등으로 분류되는 생물 공학과 전자 공학의 경계에서 전개되는 생체 전자의 연구 산물들이 있다.
베리칩 [VeriChip] 출처: IT용어사전 생체 검증을 위하여 사람의 피하에 삽입하는 체내 이식용 마이크로 칩. 쌀알만 한 크기로 126개 정보 문자와 데이터 전송용 전자 코일, 동조 콘덴서 등이 실리콘 유리 튜브 속에 들어있다. 무선 식별(RFID: radio frequency indentification) 기술을 사용하며, 약 4피트 거리에서 해당 스캐너로 칩 데이터를 읽는다. 처음에는 의료 경고용 팔찌와 같은 방법으로 의료 인명 구조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의료는 물론 보안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
출처 : (사)한국바이오칩학회 http://www.biochip.or.kr/ 글쓴이 : 이 재 제목 : 나노과학과 단백질칩 작성일 : 2005년 06월 24일 22:56 내용 : 갈릴레오가 지동설을 주장하면서 종교재판을 받을 때,천동설이 무너지면 기독교의 권위는 무너질거라고 보며,진실을 왜곡하였읍니다.
출처 : 2008년 6월 6호 - 한국바이오칩학회소식지
출처 : 블로그 : 피부가 좋아하는 웰빙건강 : http://www.biochip.or.kr/ 제목 : NT기술을 응용한 바이오칩 동향 내용 :
Biochip(바이오칩) (webzine 20호) 1. 바이오칩의 기술 동향 가. 정의 및 분류
Figure1 바이오칩의 적용 분야에 대한 분류 Table 1 바이오칩의 사용물질에 따른 구분
나. DNA Chip ○ DNA Chip이란 유전자 검색용으로 많은 종류의 DNA를 고밀도로 붙여 놓은 것이다. ○ DNA Chip은 붙이는 유전물질의 크기에 따라 cDNA Chip과 Oligonucleotide Chip으로 나눌수 있다. cDNA Chip는 최소한 500염기 이상의 유전자가 붙여있고, Oligonucleotide Chip에는 약 15-25 개 길이의 염기들로 이루어진 올리고 뉴클레오티드가 붙여져 있다. ○ 수 백개에서 부터 수 십만개의 유전자를 아주 작은 고체 표면위에 고밀도로 집적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임 또한 동시에 빠른 시간에 유전자를 검색할 수 있다. ○ 유전자를 분석할 수 있는 기존의 유전공학 방법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임
Table 3 DNA Chip활용분야
(2001신기술동향조사 보고서 - 바이오칩 - 특허청) 다. Protein Chip ○ 단백질이 이차원 평면상에 단순히 바둑판 형태로 배열된 항체 어레이, 펩티드 어레이, 단백질 어레이 부터 시료 전처리 기능이 구현된 마이크로플로이드 (미세유체역학) 부분까지 포함하는 기술의 총괄적으로 단백질 칩이라 정의 함. ○ 단백질 칩은 단백질이 갖는 고도의 선택성과 칩이라는 관점에서의 대량 스크리닝 기능이 있기 때문에 단백질의 분리, 확인, 정량 및 기능해석에 이르는 일련의 단백질 분석작업을 칩상에서 수행 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어 프로테오믹스 분야와 진단용 바이오센서 분야에 널리 활용될 전망 임. ○ 단백질 칩 기술은 칩의 제조와 관련된 protein microarray 기술과 어레이 상태로 고정화된 단백질을 관찰하고자 하는 단백질간의 상호반응 정도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비교하는 분석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 분석기술은 형광, 전기화학, 화학 발광, 전기발광, 질량분석, 흡광 측정 등 기존의 검출기술을 이용하는 측정기술과 이들의 기술을 프로테오믹스 연구, 고속신약스크리닝 등에 활용하는 응용 기술로 나눌 수 있다.
칩 위에서 연속적인 단백질 분리와 분리된 단백질을 SELDI (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S를 결합하여 대용량으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음 분석 시간은 몇 분 내에 이루어지며 단백질의 종류와 상대적인 농도를 등을 분석할 수 있음. 매우 민감하게 반응함으로 극소량의 농도에서도 분석이 가능. SELDI를 포함한 일반적인 MS는 1피코그램 까지 검출할 수 있어 전기영동법에서의 5 나노그램 검출보다 오 천배 이상의 정밀성을 가지고 있다. ProteinChip 시스템은 검출할 수 있는 단백질이 1kD크기의 펩티드 분석이 가능하며 그 응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함.
Figure 5 SELDI 방식의 측정법. 표면 처리를 한 단백질칩위에 직접 샘플단백질을 capturing 및 정제 과정을 거친 후, 표적 단백질을 레이저에 의한 탈착/이온화 하여 TOF MS(Time of Flight Mass Spectroscope)에 의해 검출 기술
SPR은 광이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전반사 될 때 계면에 있는 금속 층 전자들에 의한 표면 플라즈몬의 진동이 계면 근처의 유전 상수에 의해 영향을 받아 유전 층의 두께나 굴절률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상이다. 형광 표식 과정 처리가 없이 광학적 원리만으로 분자간의 상호 작용을 측정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분자량으로 피코 몰 수준까지 측정이 가능하며 분자량으로는 180 Da(Dalton)의 저분자 부터 세포수준까지 측정할 수 있다. 다수의 단백질이 어레이화된 단백질칩 상에서도 SPR 신호를 검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Figure 6 SPR 원리와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실험결과.
(SRI report, Protein Chip, Jan 2002) ○ 바이오 칩은 제작 장치에 따라 DNA 분석과 단백질 분석을 위한 마이크로어레이칩과 마이크로/나노플루이딕스(Micro/Nano Fluidics) 기술을 이용한 랩온어칩(LOC:Lab-on-a-chip)으로 나눌 수 있다. ○ 마이크로어레이칩 어레이 칩은 대상 유전자나 혹은 단백질을 감지하기 위한 프루브를 어레이 형태로 배열해 프루브와 결합되는 물질을 감지해내는 방법을 이용. 프루브와 타깃 물질과의 특이적 결합(specific binding)이 전제 조건으로 타깃 질병의 마커 결정과 프루브 물질과 결합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바이오 기술이 요구됨. 어레이 바이오 칩을 이용한 분석은 많은 양의 시약과 조작과정이 필요 없이 한번에 수많은 반응이 동시에 처리 가능하여 유전적 분석을 단지 10㎕ 이하의 적은 양의 시료를 가지고 수 센티미터의 칩을 이용하여 수일 만에 분석할 수 있음. ○ 랩온어칩(Lab-on-a-Chip) 마이크로/나노플루이딕스(Micro/Nano Fluidics) 기술을 이용한 이 칩은 시료의 반응, 분리, 분석이 하나의 칩 위에서 이루어지도록 고안된 5∼200㎛의 크기의 마이크로 채널로 이루짐. 다양한 샘플을 나노리터(nℓ) 정도 또는 이하의 양만으로 연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고속 처리(high throughput) 분석이 가능함. 이 칩은 유리나 혹은 실리콘 기판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해 마이크로 시스템 가공 기술로 제작함 기계적인 펌핑 방법, 마이크로 채널 표면에 형성되는 전기삼투현상(electro-osmotic phenomena)을 이용, 자기조립단분자막 등을 이용하여 표면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정밀 컨트롤을 가능함. LOC의 개념은 생명현상을 규명하려는 포스트게노믹스연구, 즉 인간 유전자 구조의 밝혀짐에 따른 후속 연구를 추구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음. 고감도 나노 감지소자가 개발될 경우 이들 감지소자와 기존의 LOC와의 결합을 통하여 소형 진단 칩으로서의 응용이 가능다. 미소 채널을 이용한 분석 시스템의 연구와 더불어 초정밀 유체의 조절을 위한 마이크로 밸브, 마이크로 펌프 등 마이크로 유체 부품들이 연구되고 있음. 이들 부품들은 LOC에 응용뿐 아니라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이나 마이크로통합분석시스템(μ-TAS:Micro Total Analysis System) 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가 됨. 2. 바이오칩의 산업현황
○ 바이오칩은 DNA나 단백질과 같은 생체물질을 유리, 실리콘, 나일론 등의 재질로 된 고체기질 위에 고밀도로 집적화시킨 것으로 유전자 발현 양상, 유전자 결함, 단백질 분포 등의 생물학적 정보를 얻거나 생화학적 공정 및 반응 속도 또는 정보처리 속도를 높이는 도구나 장치를 말한다. ○ 바이오칩은 과학 기술 연구 및 신약 개발 프로세스, 임상 진단 등의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임상진단 분야에서는 이미 암, 에이즈, 간염, 말라리아 등과 관련된 유전자 돌연변이를 검출하여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칩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Figure 7 마이크로 플로이딕을 적용시킨 Lab-on-a-Chip
○ 바이오칩은 바이오칩 자체의 제조기술뿐만 아니라 분석기기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분석시스템으로 향후 시장에서 성공 여부는 바이오칩 분석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를 누가 주도하는 가에 따라 결정된다. ○ 현재 시장에 가장 많이 보급된 것은 Affymetrix의 GeneChip시스템인데 칩 제조 기술의 혁신이 계속 이루어지고 잇고 바이오칩 시장이 초기 단계인 점을 감안하면 바이오칩 분석 시스템의 표준화 경쟁은 당분간 혼전을 거듭할 것으로 보임 ○ 바이오칩은 DNA 칩, 단백질칩, Lab-on-a-Chip 등의 각기 다른 형태의 분석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응용분야가 극히 세분화되어 있는 점 등이 분석 시스템의 표준화에 걸림돌로 작용함. 바이오칩 관련기업에게는 세분화된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다. 기술개발 동향 ○ 현재의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은 한개의 시료에 다양한 유전자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향후 다수의 시료에서 다양한 유전자를 분석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됨. ○ 신약개발의 새로운 목표발굴에 최종 목표를 두고, 약물에 대한 개인의 유전적 차이를 발굴하고 이를 통한 약물반응성을 예측하는 개인별 예측의학 및 맞춤 의약을 추구하는 방향의 기술개발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 ○ 단백질관련 선도기술의 등장으로 단백질의 산업화 기술은 점차 대규모화/고효율화 추세를 보이고 있고, 다수의 단백질에 대한 동시 분석과 단백질-단백질 상호간 작용규명 기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를 위한 단백질칩 연구가 활발함. ○ Microfluidics기술에 기반한 Lab-on-a-Chip기술을 응용한 마이크로, 나노바이오칩의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과 바이오센서 개발에 적극 상품화 되고 있음 라. 시장전망 전세계의 바이오칩 산업은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분야로 유아기에서 벗어나 성장기에 이르고 있다. 주요 시장에 대한 개괄적인 윤곽이 드러났고, 여러 개의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고 개발된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바이오칩의 사업모델은 다음과 같다. - 직접 제품개발의 내부 투자 - 거대 협력회사의 투자하고 제품 공동개발 - 제 3의 소규모회사와 제품 공동개발 - 파생제품을 위한 기술가발 공공자금 적용 - 특이적 응용을 위한 기술에 대한 특허 공유 현재 세계 바이오칩 시장은 약 3억 달러 정도로 추정되며 해마다. 30%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하여 2005년 12억 달러, 2010년에는 50억 달러 이상의 규모로 성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2005년에 100억 달러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올 정도로 바이오칩 분야는 그 시장성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바이오칩 시장의 대부분은 DNA칩이 차지하고 있으나 점차 단백질칩과 Lob-on-a-Chip 제품의 비중이 높아져 2010년 이면 이들 제품이 주종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재 판매되고 있는 바이오칩을 용도별로 보면 연구개발용이 대부분으로 진단용 바이오칩은 아직 상업화의 초기 단계에 있다. 향후 5년 후면 진단용 바이오칩 시장이 연구개발용 바이오칩 시장을 능가할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칩 시장을 세분해 보면 microfluidics 부분은 2002년 1억 5천만불 이고 2003년에는 57%에서 2006년에는 37% 정도로 년간 성장률이 둔화되어 6억 3천만불이 될 것으로 예상함. Microarray 분야는 2001년 4억 8천만불에서 2002년은 39% 성장, 2006년에는 20% 정도로 매년 성장하여 17.5억불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2001년 신기술동향보고 보고서-바이오칩- 특허청 (http://www.kipo.go.kr))
(SDI report, June 2001) 마) 시장 동향 ○ 현재 바이오칩(대부분 DNA Chip) 세계 시장 규모는 5억달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연 3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2005년에는 33억 달러 이상으로 시장규모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국내 바이오칩 시장 규모는 현재 약 20억원이며 2010년에는 2,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SDI report, June 2001) ○ 바이오칩 진단 시약의 개발은 다양한 분야들이 접목되어 개발됨으로 개발에 성공하면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됨.
Figure 10 바이오칩에 대한 각 기관들의 시장예측 Table 7 바이오칩의 응용 분야 및 시장 ("Biotech 2001", Burrill and Co.)
○ 특히 인종간, 민족간의 유전적 차이 규명을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인에게 적용되는 독자적인 정보 이용 기술 개방이 필수적인 분야임
Figure 11 바이오칩의 2000년 시장분석과 2005년의 시장 예측 (Source: SDI report, June 2001)
1) 국외 ○ 전세계의 바이오칩 산업은 여러회사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는 성장기에 돌입했음 ○ 미국의 바이오칩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 수요은 연간 약 25% 이상의 비율로 성장하고 있으며, 2006년에는 18억 달러 규모에 달할 전망. 바이오칩의 매출은 7억2천만 달러에 달할 것이며, 관련 제품(기기, 소프트웨어, 시약, 소모품) 및 서비스 매출은 10억 달러에 이를 전망임(Biochips 2002, The Freedonia Group,Inc.) ○ 바이오칩에 대한 기대는 Human Genome Project를 이용한 신약발굴 및 진단 시장에서 잠재가치와 연관 되어 있음 <Human Genome Project :HGP> ▷ HGP의 목표는 인간의 염색체에 대해 염기서열을 분석 하는 것임 ▷ 분석 결과 각 개인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연구와 질병에 대한 의약품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방향으로 흐름의 전환이 됨. ▷ DNA 염기 서열 및 새로운 유전자 찾아냄으로써 유전학 분야에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함 ▷ 서로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의 기능을 밝혀 내는 Functional Genomic 의 분야를 출현시킴 ○ 바이오칩 시장에 대한 잠재성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간주됨 ○ 기초 연구, 신약발굴 및 임상의학에 기초로 한 Genotyping, 서로 다른 유전자 발현, 단백질 발현에 대한 연구 잠재력은 상당히 높음 ○ 바이오칩의 사업모델 - 직접 또는 공동 마케팅을 위한 내부투자에 의한 제품 개발 - 거대협력 회사가 투자하는 제품 공동 개발 - 제 3의 소규모회사와 제품 공동개발 - 특정 응용을 위한 기술에 대한 특허 판매 ○ 선진국의 사업모델 - 유전자 칩 또는 단백질 칩 제조 판매, Lab-on-a-Chip - Microarray : 칩제작 장비 - Microfluidcs - Scanner - 고객 서비스 및 aftermarket ○ 유전체 분야, 감염성 질환 진단용 유전자 칩 시장은 2005년 약 20억불로 성장될 것으로 전망됨 ○ 유전자 발현 분석 및 막대한 유전정보 해석을 위한 유전체 기능 연구용 유전자 칩 시장이 주류로 되어 있고, 신약개발 및 질병 진단용 유전자 칩 시장은 초기 단계임 ○ 현재 미국의 Affymetrix, Incyte, Nanogen 등에서 칩 제조 판매 중이고 Affymetrix 사는 유전자 칩 시장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음 ○ 고밀도 칩제작 장비인 Microarray 시장은 Affymetrix, Caliper, Packard bioscience, Genomic solutions에 의해 주도 되고 있음 ○ Scanner는 유전자칩 또는 단백질칩의 정보를 얻고 처리하는 고비용의 장비임 ○ 고객 서비스는 고객에게 신저품 제공, 주문형 제작 칩 제조 및 서비스, 유전자 발현 주문형 서비스 등의 시장을 형성함 ○ 단백질 바이오칩 시장이 오는 2006년까지 7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바이오인사이트에서 조사. 지난해 바이오칩 시장은 7600만 달러의 규모를 기록했으며 이 중 6000만달러가 스웨덴의 바이아코어의 실적임. 앞으로 몇년 안에 이 시장 참여기업의 수는 10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 2) 국내 ○ 생물정보학을 활용한 유전자칩의 국내시장은 발아기 단계임. 현재 대학실험실 및 연구소 중심으로 개별적인 정보를 구축하고 있는 상태임 ○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프로토타입의 유전자칩 및 단백질칩이 제조 판매되고 있음 ○ 바이오칩에 대한 관심은 선진국과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었으나 연구개발을 위한 조직 구성 및 지원 등의 기반이 취약하여 선진국의 개발동향을 탐색하는 단계에 있음 ○ 칩에 대한 연구는 LG전자기술원, 삼성종합기술원 등 대기업과 바이오벤처를 중심으로 진행 중이며, 칩 설계 부분에서 자체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사용 중임. ○ 최근 단백질 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대기업, 벤처기업 및 대학 등에서 단백질칩 제작 및 시제품 개발이 활발함 ○ 국가지원 기술개발 사업으로 유전자칩 및 단백질칩 개발사업(산업자원부 차세대기술개발사업), 유전체 연구(21세기프론티어사업) 등이 있다. 3. 국내외 업체동향 <국외> ○ Affymetrix - GeneChip과 시스템을 제작했으며 병의 진단, 모니터링 및 치료의 개선에 관한 복잡한 유전적 정보의 습득, 분석 및 관리에 대한 선택의 기술로 사용 - GeneChip 시스템은 칩 상의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는 DNA 탐침 어레이, 탐침어레이 사용을 위한 시약, 탐침 어레이를 처리하는 스캐너 및 기타 장비, 유전 정보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1996년부터 판매하기 사작 ○ BioRobotics - MicroGrid에 기반한, 4가지 마이크로어레이를 제공 - 2000년도에 MicroGrid II출시. 샘플 증발, 샘플 이동, 처리량, 스파팅 및 모든 용이성에 있어서 기타 개선을 포함하여 첫번째 생성 장비보다 고밀도 어레잉을 제공 가능 - Total Arraying System(TAS)를 제공하고, 이는 냉각, 공기 여과 및 바코드 판독과 같은 특징을 포함함 ○ Caliper Technologies - LabChip System을 이용한 lab-on-a-chip 기술의 전체 리더로 개인 연구실 시스템 및 고처리량 시스템의 독특한 칩 포맷에 기반한, 몇 가지 유형의 LabChip 시스템을 개발 - DNA, RNA 및 단백질 랩칩 킷트는 Agilent 2100 Bioanalyzer에 대하여 사용 가능함. - Caliper 측정 시스템은 Agilent Technologies에 의하여 마켓팅 및 판매되고 있음 ○ Ciphergen - ProteinChip System은 생물학적 샘플로부터 직접 펨토몰(femto mole) 레벨에서 단백질의 분리, 검출 및 분석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분자 분석 시스템 임 - SELDI(Surface-Enhanced Laser Deposition/Ionization) 기술을 활용함. - 단백질칩은 광범위한 종래의 분석 방법에 대한 보완적인 해결 가능 - 단백질 기반 정보를 분석하고 관리하기 위한 일회용 단백질칩 Arrays, 단백질칩 인식기 및 적절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현행 단백질칩 시리즈인 PBS II를 상업적으로 착수. ○ GeneMachines - GeneMachines는 OmniGrid 및 OmniGrid Accent와 어레이어 시장에서 경쟁하며, OmniGrid는 어레이어 구축을 위하여 친숙한 P. Brown MGuide의 디자인을 모방함. 시스템은 개선된 기계학 및 고용량/처리량 능력을 첨가하며, OmniGrid Accent는 컴팩트한 실험실용 어레이어임. ○ Genomic Solutions - Genomic Solutions는 유전체 및 단백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장비, 소프트웨어, 소모품 및 서비스를 제공 - 시스템은 DNA 라이브러리 관리, 바이오칩 생산, hybridization, 이미징 및 바이오인포메틱스를 포함한 표현 분석을 위하여 디자인됨. ○ Hyseq - Hyseq는 현재 내부적으로 그리고 테스트 목적용으로 제 3자를 이용하여 공용 DNA 시퀀싱 HyChip Biochip을 사용하며, Hyseq 시스템은 reference 및 테스트 시료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레이블된 탐침의 타겟 지정 칵테일과 연결된 완전한 세트의 DNA 탐침의 어레이를 사용함. ○ Incyte Genomics - Incyte Genomics는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및 파트너쉽 프로그램, 유전체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유전자 표현 서비스, 관련 시약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판매하고 있음 ○ Nanogen - Nanogen의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은 전자 어드레싱이라고 하는 독점 기술을 사용 - NanoChip Molecular Biology Workstation은 사용자가 어레이의 다양한 위치에 조정된 전하를 배치하고 특정 스팟 상에 DNA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도록 허용함 - 이 시스템은 현재 SNP 및 Short Tandem Repeats(STR)를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음 ○ Packard BioSciences - piezoelectric 바이오칩 마이크로어레이어를 제조하며, 시스템은 스팟 어레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사용함 - 바이오칩 어레이어는 DNA 및 단백질을 포함하여, 생물분자의 고밀도 어레이를 생산 - Packard BioChip은 현재 제조 환경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바이오칩 및 마이크로어레이의 대형 체적 생산을 제공하는, 2001년 후반기에 이용 가능한 제 2세대 어레이어에 대하여 작업 중 ○ Sequenom - Sequenom은 유전적 이형체와 연관된 SNP 및 기타 DNA 분획을 동시에 분리하고 검출하기 위한 MALDI-TOF 질량 분광계의 파워를 사용하는 MassArray System을 판매하며, 시스템은 형광표지 또는 기타 마커 없이 측정
Figure 12 단백질 칩 제조업체간 상호 협력관계 모식도 4. 국내 주요업체 Profile ○ 외산 일색이던 바이오칩 분석장비 시장에 국내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 ○ 마크로젠·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서린바이오사이언스 등은 최근 대당 3000만원에서 5000만원 안팎의 저가 바이오칩 분석 장비를 선보이며 시장 공략. ○ 바이오벤처기업들은 바이오칩 분석장비를 병원과 연구소에 대량으로 보급해 바이오칩을 이용한 진단과 연구를 활성화하고 바이오칩과 분석장비 시장을 장악하는 전략. ○ 마크로젠(http://www.microgene.co.kr)은 5000만원짜리 보급형 ‘MG-DNA칩 스캐너’를 출시. 이 스캐너는 대당 1억2000만원에 판매되고 있는 미국 애피메트릭사 제품과 성능은대등하면서도 cDNA칩(유전자 발현)·올리고 칩(유전자 변이) 및 지노믹 DNA칩(염색체 수적 변화) 검사는 물론 단백질칩에 이르기까지 바이오칩 발현분석용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음. ○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http://www.digital-bio.com)는 CCD카메라와 할로겐 램프를 사용한 보급형 스캐너 ‘제노스코프 DCR200’의 주문제작을 시작. 고가의 레이저 스캐너에 비해 30% 이상의 가격경쟁력을 갖고 있는 이 장비는 자체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로 처리되며 바이오칩 분석과정을 자동화함. 디지탈바이오는 고객이 원하는 기능에 초점을 맞춰 제노스코프를 주문제작, 바이오메드랩과 지노첵 등 DNA칩 분석장비로 사용하고 있음. ○ 다이아칩(http://www.daichip.co.kr)은 150만화소의 CCD카메라를 사용해 높은 해상도를 자랑하는 ‘DC리더 301’로 시장공략함. 바코드리더가 장착된 이 스캐너는 판독을 시작하기 전에 검사 대상 바이오칩의 정보를 미리 확보, 판독과 진단 결과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하고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전달도 가능. ○ 서린바이오사이언스(http://www.seoulin.co.kr)는 하반기 중 보급형 DNA칩 분석장비 개발을 완료하고 시판에 나설 예정. ○ 진단용 DNA칩과 프로테인칩을 판독할 수 있는 장비인 스캐너는 미국 애피메트릭사와 애질런트테크놀로지 등 수억원대 외산 고가제품이 국내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중소규모 병의원이나 연구실에서 바이오칩을 사용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 ○ 푸드바이오테크의 ‘항원 특이 알레르기 항체 검출용 단백질칩 개발’, 프로테오젠(대표 한문희)의 ‘진단용 고감도 단백질칩 제작기술 개발’, 연세대 라선영 교수팀의 ‘유전자와 단백질 발굴에 의한 장암 관련 바이오칩 개발’, 서울대 박웅양 교수팀의 ‘신 질환 올리고칩 개발과 바이오칩 분석통합환경 구축’ 5. 결론
서창우 , 생물정보학의 시장분석 자료,Microbiochip center 2002 Kistep, 국가기술지도(안), 20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ioelectronics Technology & Market Analysis, 2001 SDI report, June 2001 SRI -BI, Protein Chip, D02-2360, January 2002 SRI -BI, DNA Chip, D00-2300, November 2000 SRI -BI, Bio Chip, D99-2226 2001년 신기술동향보고 보고서-바이오칩- 특허청 (http://www.kipo.go.kr) Ciphergen 회사 (http://www.ciphergen.com) BMS korea 회사 (http://www.bmskorea.co.kr/new01_21-1.htm) BIAcore 회사 SPR 제품 (http://www.biocore.com/technology/core.lasso) <별첨자료 1> 국외 바이오칩 제조업체
(출처 : 서창우 , 생물정보학의 시장분석 자료, Microbiochip center 2002) <별첨자료 2> 국내 바이오칩 제조업체
(출처 : 서창우 , 생물정보학의 시장분석 자료, Microbiochip center 2002)
[출처] Biochip(바이오칩)|작성자 필사이언
|
![]() ![]() ![]() |
'천국과지옥2 > 666짐승의 표·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나치 타투, 베리칩 - Human Identification (Nazi Tattoo, Microc (0) | 2008.11.03 |
---|---|
[스크랩] [동영상] 적그리스도와 666 짐승의 표 ! (0) | 2008.10.23 |
종말영화('666의 비밀') (0) | 2008.10.23 |
[스크랩] (1) BIOCHIP과 짐승의 표(MARK) (0) | 2008.10.23 |
Somark란 회사에서 개발한 '칩없는' RFID 전자문신!! (0) | 2008.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