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s have gathered the rich products of honeybees for centuries. Here at the National Honey Show in Surrey, southern England, these natural gifts are celebrated in competitive classes. Winning here is a great honour. Mary Ryan secured 7 prizes, including one in the prestigious international section. She's just one of several Irish winners. So what's their secret? 인류는 수백년 동안 꿀벌로부터 풍부한 생산품을 얻어 왔다. 영국 남부 서리에서 열린 ‘전국 벌꿀 품평회’에서는 자연의 선물 벌꿀을 놓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이 펼쳐진다. 여기서 최고로 인정받는 것은 커다란 영광이다. 메리 라이언 씨는 최상급품을 가리는 국제 부문을 포함해 7개 분야에서 1등을 차지했다. 하지만 그녀는 많은 아일랜드 출신 우승자 중 한 명에 불과하다. 과연 아일랜드가 이처럼 벌꿀의 강국이 될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SOUNDBITE: Mary Ryan from Dundrum, Tipperary, Ireland, saying, (English): ''Its following in the general pattern of the Irish good luck but as for letting you into our secrets I'm afraid they shall remain under the lid.'' [메리 라이언 / 아일랜드 티퍼러리 던드럼] ”행운을 가져오는 아일랜드의 일반적인 방식을 따랐을 뿐이에요. 하지만 비결은 알려드릴 수 없어요.”
Wonderful as these products are, Reverand Father Francis Capener, General Secretary of the National Honey Show, says bees are also import!ant pollinators. 대회 사무장을 맡고 있는 프란시스 카프너 주교는 벌꿀로 이처럼 갖가지 제품들을 만들 수 있는 것도 놀랍지만, 사실 꿀벌은 인간에게 정말 중요한 존재라고 말한다.
SOUNDBITE: Reverand Father Francis Capener, General Secretary of the National Honey Show, saying, (English): ''If they weren't doing that work we wouldn't be having any fruit, it just wouldn't be there so we rely upon the bees and people don't realise that enough. They are of vital import!ance to life as we know it.'' [프란시스 카프너 / 전국 벌꿀 품평회 사무장] “만약 꿀벌이 일하지 않으면 우리는 어떤 과일도 먹을 수 없게 되죠. 우리는 꿀벌에 의존해 살아가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잘 실감하지 못합니다. 꿀벌의 존재는 인간의 삶에 정말 중요합니다.”
That's not an overstatement. Dr Dewey Caron, Professor of Entomology and Applied Ecology at the University of Delaware in the USA, says bee pollination accounts for about a third of what we eat. He's been involved in research into bee health in the U.S. where large losses have also occurred. 이는 절대 과장이 아니다. 미국 델라웨어대학교 곤충학 겸 응용생태학 교수인 듀이 캐런 박사는 꿀벌이 꽃가루를 옮기는 것을 통해 인간이 먹는 것 중 3분의 1이 만들어진다고 말한다. 그는 현재 미국 내 꿀벌의 생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꿀벌의 개체 수가 크게 줄고 있기 때문이다.
SOUNDBITE: Dr Dewey Caron, Professor of Entomology and Applied Ecology at the University of Delaware in the USA saying, (English): ''There seems to be several inter-related factors that are going on that are making bees less healthy and so through the season now one in three colonies is not surviving, not to be a prosperous colony.'' [듀이 캐런 / 미국 델라웨어대학 교수] “꿀벌이 허약해지는 데에는 몇 가지 원인들이 얽혀 있는 듯 합니다. 관찰 기간 동안 벌통 3개 중 1개 꼴로 벌들이 생존하지 못하는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British beekeepers want to know why their bees are also dying out. They're calling on the government to back an 8-million pound, 5-year research programme. 영국 양봉업자들도 꿀벌들이 죽어가는 현상을 겪어 그 원인을 파악하고 싶어한다. 이에 5년간 800만 파운드 비용이 드는 연구 프로그램을 실시할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SOUNDBITE: Tim Lovett, President of the British Bee Keepers Association, saying, (English): ''In those same five years using government's own figures bees will contribute over 800 million pounds through pollination.'' [팀 로벳 / 영국 양봉업조합 대표] “5년 동안의 정부 측 예상 수치만 봐도 양봉산업은 800만 파운드 이상의 가치를 창출해 낼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Without that pollination, the price of much of our food and its availability would be affected. Einstein once predicted that if the bees die out, so will we soon afterward. 꿀벌들이 꽃가루를 옮기지 않으면, 우리들이 먹는 음식들 중 대부분의 가격이나 공급량도 영향을 피할 수 없다. 아인슈타인은 만약 꿀벌이 멸종하면, 그 다음은 인류의 차례라고 예언한 바 있다.
번역=김영식 동아닷컴 기자 tenrapid@dong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