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국과지옥2/666짐승의 표·4

666 바코드 읽는 법, 바코드 안에 숨겨진 666 - 베리칩

 

16 그가 모든 자, 즉 작은 자나 큰 자, 부자나 가난한 자,

        자유자나 종이나 그들의 오른손이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하고
        And he causeth all, both small and great, rich and poor,

        free and bond, to receive a mark in their right hand, or in their foreheads: 


  17 그 표나 그 짐승의 이름이나 그의 이름의 숫자를 지닌 사람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사거나 팔 수 없게 하더라.
        And that no man might buy or sell, save he that had the mark,

        or the name of the beast, or the number of his name.


  18 지혜가 여기에 있으니 지각이 있는 자는 그 짐승의 숫자를 헤아려 보라.

       그것은 한 사람의 숫자이니, 그의 숫자는 육백육십육이니라.
       Here is wisdom. Let him that hath understanding count the number of the beast:

       for it is the number of a man; and his number is Six hundred threescore and six.」

                                                                                                          (요한계시록 13장 16~18)

 

 

9 셋째 천사가 그들을 따라가며 큰 음성으로 말하기를

      누구든지 그 짐승과 그의 형상에게 경배하고 그의 표를 자기 이마나 손에 받는다면
      And the third angel followed them, saying with a loud voice,

      If any man worship the beast and his image, and receive his mark in his forehead, or in his hand,


 10 그 역시 하나님의 진노의 포도주를 마시게 되리니,

      그것은 그의 진노의 잔에 혼합하지 않고 부은 것이니라.

      또 그 사람은 거룩한 천사들의 면전과 어린 양의 면전에서

      불과 유황으로 고통을 받으리니,
      The same shall drink of the wine of the wrath of God,

      which is poured out without mixture into the cup of his indignation;  

      and he shall be tormented with fire and brimstone

      in the presence of the holy angels, and in the presence of the Lamb:


 11 그 고통의 연기가 영원 무궁토록 올라가리라.

      그 짐승과 그의 형상에게 경배하고 그의 이름의 표를 받는 자는

      누구든지 밤낮 쉼을 얻지 못하리라.
      And the smoke of their torment ascendeth up for ever and ever:

      and they have no rest day nor night,

      who worship the beast and his image,

      and whosoever receiveth the mark of his name.」

                                                                             (요한계시록 14장 9~11)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eft side codes (좌측 데이터 영역)을 뒤집어 놓으면  Right side codes (우측 데이터 영역) 이 되고,

   Right side codes (우측 데이터 영역)을 뒤집어 놓으면 Left side codes (좌측 데이터 영역)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우측 데이터 영역의 6 과 7은.. 같은 얇은 막대기 Bar 두 개의 형태여도.. 가운데 흰막대기 부분의 간격 차이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같은 얇은 검은 막대기바 두개여도, 가운데 흰색바들의 간격차이 구분으로 인해.. 우측데이터 영역의 6과 7이 서로 구분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좌측 데이터 영역의 6 입니다. 좌측 데이터 영역의 6보다는..

                   흰색 바와 검은색 바를 그대로 뒤집어 놓은 (좌측 데이터 영역 6을 그대로 반대로 뒤집어 놓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측 데이터 영역의 6이 바코드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모습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좌측 데이터 영역의 6도.. 바코드 심볼의 시작, 분리, 종료를 나타내는..

 세개의 가드바인 666 의 패턴으로 여러 생산 제품들에서 가끔씩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두개씩 짝을 이루는 막대기 바(Bar)의 두께와 간격을 확인하시면.. 왜 바코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처음과 중간, 맨 나중을 표시하는 가느다랗게 두개씩 표시된 막대기 바가.. 우측 데이터 영역의 6을 뜻하는지 아실 수 있습니다.

 검정 Bar들이 합쳐진 검정 Bar들의 두께와.. 검정 Bar 와 Bar 사이의 간격인 흰색 Bar들이 이루고 있는 간격을 같이 봐야 합니다.

 그러면 시작과 중간과 종료의 세개의 가드 바 역할을 하는 막대기 Bar 는 우측 데이터 영역인 Right Side Codes에 해당하는 숫자 6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코드가 레이져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캔해 갈 때.. 이 처음과 중간과 나중의 막대기 Bar 도 함께 스캔하게 되며..

 그러므로 전세계에서 공통으로 통용되는 바코드의 국제 코드는 666 이 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Bar-Code 의 국제 코드는 666입니다.
전세계에서 공통적으로 통용되는 가드바인 국제 코드는 666,

그 다음 국가코드는 각자의 국가코드가 들어가는데.. 우리나라 제품은 우리나라 코드 번호인 880 이 들어가게 됩니다.

 

바코드가 들어가는 숫자의 순서는 이러합니다.

1. 가드바 : 전세계 공통 666

2. 국가 코드(3자리) : 국가를 식별하는 코드로 우리나라의 경우 '880'을 사용

3. 제조업체 코드(4자리) : 제조회사, 제조원 또는 판매원에 부여하는 코드로 각 업체를 식별하는 코드

4. 상품품목 코드(5자리) : 제조업체코드를 부여받은 업체에서 자사의 상품별로 식별하여 부여하는 코드

5. 검증 코드(체크 디지트)(1자리) : 바코드의 오류를 검증하는 코드로 앞의 숫자를 조합하여 나오는 코드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표출처 tojungil)

 

 

 

 

    (적용)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바코드에서 가끔씩 볼 수 있었던 바코드 밑의 F 와 H 는 Forehead(이마)와 Hand(손)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이 곳(F 와 H, 이마와 손)에 바코드 표(칩)을 넣겠다는 의지의 예고적 표현으로 생각됩니다.

 인체의 몸안에 들어가는 Bar - Code 인 베리칩을 통하여 그렇게 될 것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바코드 원리
바코드에 있는 정보를 해독하기 위해 변화하는 값에 작은 빛의 점들이 스캐너를 경유하여 바와 스페이스를 스쳐가면서 반사해 주는 것이다.

바코드의 검은 막대 부분인 블랙바는 적은 양의 빛을 스캐너 안으로 반사해 들어가고 검은 막대의 중간 중간에 있는 하얀 스페이스 바는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해 낸다.

반사된 빛의 양의 차이는 스캐너 안에 있는 빛 검출기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번역되고, 이렇게 번역된 신호는 특정한 문자와 숫자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 가지 조합으로 사용되는 2진수 0과 1로 바뀌어진다.

이렇게 바뀌어진 0과 1의 조합으로 문자 및 숫자를 판독한다.

선이 있고 없고 선이 굵고 가늘 고로 데이터를 2진법으로 저장한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KAN 코드에는 표준형 13자리와 단축형 8자리의 두가지가 있습니다.

 ◆ 표준형 코드의 구성
1. 국가코드 (3자리) : 국가를 식별하는 코드로 우리나라의 경우 "880"을 사용
2. 제조업체코드 (4자리) : 제조원 또는 판매원에 부여하는 코드로 각 업체를 식별하는 코드
3. 상품품목코드 (5자리) : 제조업체코드를 부여받은 업체에서 자사의 상품별로 식별하여 부여 하는 코드
4. 체크디지트 (1자리) : 바코드의 오류를 검증하는 코드로 앞의 12자리를 조합하여 나오는 코드
5. 13개의 숫자 중 가장 오른쪽의 검사 숫자(체크디지트)의 판단방법은 다음과 같다.

검사숫자를 제외한 12개의 숫자에 대하여 10-[{홀 수 번째 숫자의 합) + (짝수 번째 숫자의 합)×3}의 일의자리수]=(검사숫자)가 성립하면 옳게 된 바코드이다. 옆의 바코드를 설명하자면 10-[{(8+0+2+4+6+8)+(8+1+3+5+7+9)×3}의 일의 자리수] = 3 이다.

예로 모나미에서 나온 펜의 바코드를 살펴보면..
8801067063265
역시 880으로 시작하는데... 우리나라라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고.. 1067은 모나미의 회사 코드 06326은.. 바다빛물망초 색깔 상품코드입니다.. 5는 검증번호..

13자리로 이루어졌으며 앞자리 3자리는 나라를 표기하는 자리로서 우리나라는 880입니다.

 

바코드의 분별 코드는 색이 아니라 선의 두께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각 선의 두께가 다 달라요.
요한계시록을 보면(3장 16절~18절) 짐승이 666표를 오른손이나 이마에 안 새기면 매매(경제활동)을 못하게 하고 법적 제재를 가한다고 나와있는데 관련이 있는지 바코드를 자세히 보면 처음과 가운데 그리고 끝에 다른 막대보다 약간 긴 막대가 보입니다.

 

이것은 바코드를 읽을 때 6으로 읽히는 막대이며 짧은 막대 중 6을 찾아 비교해 보면 모양이 가는 검은색 두 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가코드, 회사코드, 상품코드를 구분하는 막대로 모든 바코드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6을 썼을까요?..

이게 없으면 매매를 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성경구절을 생각해보면 단지 우연이라고만 여길 수 있을까요?..  

(출처 : 네에수님 2006-03-3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성경의 <요한계시록 13:16,17> 을 보시면,

『16 그가 모든 자, 즉  작은 자나 큰 자, 부자나 가난한 자, 자유자나 종이나 그들의 오른손이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하고

   17 그 표나 그 짐승의 이름이나 그의 이름의 숫자를 지닌 사람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사거나 팔 수 없게 하더라.

   18 지혜가 여기에 있으니 지각이 있는 자는 그 짐승의 숫자를 헤아려 보라. 그것은 한 사람의 숫자이니, 그의 숫자는 육백육십육이니라.

자, 성경의 구절을 보면, 오른손이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한 후에 매매하는 곳에 쓰여진다고 했습니다.

물론 표가 없으면 불가능하겠지요.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는 것은 바코드라는 것이 상품 뿐만이 아니라, '사람'에게 쓰여지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문제인 것이지요!

 

그것이 어떠한 원리로 작동하는지 그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지요.

그것을 이용해서 인간을 상품처럼 관리하는 사회가 된다는 것.. 이것을 지적하는 것이지요.

사람들이 우려하는 것도 바로 이것을 말하고요.

성경의 구절이 논란을 낳는 이유는 약, 2000년 전에 기록된 글인데 어떻게 이렇게 '바코드 시스템'을 잘 표현해 놓았는가 하는 것이죠.

다음의 글을 참조하십시오.

 

UPC(Universal Product Code, 통일상품 코드 또는 세계상품코드라 함.) 바코드는 12개의 숫자로 구성되는데, "시작-중간-끝"의 터미네이터 라인(Terminator Lines)에 의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터미네이터 라인을 가리켜 통칭 '가드 바'(Guard Bar)라고 한다.

이 가드 바는 UPC 내에서 가치를 가지지는 않지만, 이것을 약간만 확대해보면 숫자 6을 가리키는 UPC 심벌과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가드 바'는 약간 더 길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각 바코드 내에는 "시작-중간-끝" 부분에 세 개의 커다란 6(Six)자가 있는 셈인데 이것이 곧 "짐승의 숫자"인 666이다.(요한계시록 13:18)

더욱 우려가 되는 것은 일부 정부기관에서 복지기금 수혜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이와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겠다고 하는 것이다.

그들은 수혜자의 손가락 두 개의 지문을 스캐닝하거나, 머리카락에 심어놓은 마이크로칩에서 나오는 정보를 읽거나, 아니면 수혜자의 '손바닥'(요한계시록 13:16)에 아예 바코드를 새기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바코드 내에 'F'와 'H'의 글자를 포함하는 보강된 UPC 바코드가 있는 듯하다.

<요한계시록>의 메시지에 의거하여 이 두 철자가 각각 이마(Forehead)와 손(Hand)의 머리글자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마'와 '손'은 "짐승의 낙인"이 새겨지는 신체의 부분인 것이다...

『9 셋쩨 천사가 그들을 따라가며 큰 음성으로 말하기를 "누구든지 그 짐승과 그의 형상에게 경배하고 그의 표를 자기 이마나 손에 받는다면
10 그 역시 하나님의 진노의 포도주를 마시게 되리니, 그것은 그의 진노의 잔에 혼합하지 않고 부은 것이니라.

    또 그 사람은 거룩한 천사들의 면전과 어린 양의 면전에서 불과 유황으로 고통을 받으리니,
11 그 고통의 연기가 영원 무궁토록 올라가리라. 그 짐승과 그의 형상에게 경배하고 그의 이름의 표를 받는 자는 누구든지 밤낮 쉼을 얻지 못하리라.』(요한계시록 15:9-11)

 

성경을 읽어 보지도 못한 자들이, 바코드가 정작 어디에 어떻게 쓰여지는지 모르지요!

작동 원리 밖에는 설명할 줄 모르지요!

앞으로 그것을 이용해서 인간을 관리하는 세상이 오는 것입니다! (이미 미국에서는 사용하고 있어요!)

스스로 잘 판단하시고 주의하십시오! 

절대 지옥에 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바코드(Bar Code)' 제목의 이 작품을 보면서 만일 미래에 사람에게도 이와 같은 디지털 인식장치를 신체의 어떤 부위에 삽입하여 식별하고 통제하는 시대가 도래한다면 하는 상상을 해 보았다.

 지금도 주민등록증 대신 전자칩을 넣은 전자주민카드를 만들어 개인의 신분확인은 물론이고 모든 민원처리에도 이것으로 대체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하지만 이것 또한 몸에 붙어있는 게 아닌 지니고 다니는 것이기에 직접 얼굴을 확인하지 않는 이상 본인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치명적인 맹점이 아닐 수 없다 해야 할 것이다.

 이런 단점을 일거에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인간자체까지를 코드화 하면 해결되는 것이다.

 그것이 쉽게 얘기하자면 '인간바코드(Bar Code)'인 것이다.

 

 인간이 만든 굴레에서의 '인간상실'이 어디 '바코드'뿐일까마는 획일화되고 수치적 개념으로서의 상대적 기준에서 오는 박탈감은 어쩌면 인간 본연의 가장 '내츄럴'한 회복본으로 반작용하는지도 모른다.

 여기에 등장하는 여인은 하나의 상징성일 뿐,그 어떤 부연적 의미도 없지만 마치 '사이보그'들이 활보하는 거리에서 고통받는 인간의 고뇌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것 같다..

 '사람이 기계가 아니쟎아?' 그녀는 푸른 핏줄도 가지지 않았고 그녀의 가슴에 LED 액정 모니터도 장착하지 않았다.

 족쇄처럼 채워진, '바코드'로부터 자유롭기를 원할 뿐이다.

 이것이 문명이 주는 '옵션'이라면 그녀는 할머니와 바라보던 반딧불의 추억이 더없이 소중하여 여기에 더이상 머물고 싶지도 않다.

 까만 하늘에 뿌려진 우유빛 은하수의 기억이 명멸하며 남아 있는 한...

 

◆ 바코드(Bar Code)란?

동네 슈퍼마켓이나 대형 할인점 또는 백화점 같은 곳에서 물건을 사고 계산을 할 때 물건에 인쇄된 작은 라벨에 여러개로 구성된 검은색 작은 막대부분을 빨간빛이 나는 기계에 가져가면 "삑"소리와 함께 순식간에 자동으로 계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것이 바로 바코드Bar-Code)입니다.

바코드의 의미는 '막대(Bar) 모양으로 생긴 부호(Code)'라는 뜻으로, 굵기가 서로 다른 검은 막대와 흰 막대가 섞인 채 배열되어 있는 모양입니다. 제품마다 영문자나 숫자로 표시된 코드를 각각 매기고, 이것을 컴퓨터에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아주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이기 때문에 이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개발된 것입니다.


◆ 바코드(Bar Code)의 탄생

1923년 미국 하버드 대학의 월리스 플린트(Wallace Flint)가 '슈퍼마켓의 계산자동화'에 대한 논문을 써서 계산자동화의 이점을 최초로 문서화 하였습니다. 1940년말에 조 우드랜드(Joe Woodland)와 버니 실버(Berny Silver)는 이른바 '황소 눈 코드'라고도 불리는 바(Bar)와 스페이스(Space)가 동심원을 그리는 소형 사격 표적형태의 식료품 가격 자동처리 방법을 연구하였는데, 이는 개념적으로는 오늘날의 바코드와 동일한 것입니다.

1973년 미국 슈퍼마켓특별위원회(U.S. Supermarket Ad Hoc Committee)가 세계상품코드(UPC : Universal Product Code)를 식료품업계 표준으로 제정하면서 일반화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이 UPC를 제정하여 미국과 캐나다의 슈퍼마켓에서 성공적으로 이용되자 유럽에서도 이에 자극을 받아 12개국이 모여 1976년말 13자리로 된 EAN(European Article Number)코드와 심볼을 채택하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1988년 EAN에 가입, 국가코드 880번을 부여받고 같은 해에 한국공통상품코드(KAN : Korean Artical Number) 체계를 확정을 하여 현재는 한국유통정보센타에서 각 제조업체 코드를 등록하여 상품에 바코드 심볼을 부착하고 있습니다. EAN코드는 국제상품코드(European Artical Number)의 약자로서 EAN International(국제상품 코드 관리협회)에서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 바코드(Bar Code)의 작동원리

바코드를 보면 흰색 바탕에 굵고 가는 검은색 막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막대들은 2진수 0과 1을 나타내며 막대들의 배열은 0에서 9까지의 10진수를 나타냅니다. 결국 바코드 밑에 써있는 숫자들을 굵고 가는 막대로 표시한 것인데 컴퓨터는 우리가 쓰는 숫자를 인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바코드를 써서 2진수로 인식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바코드에 있는 정보를 읽기 위해선 스캐너를 사용하는데, 바코드의 검은 막대 부분은 빛을 흡수하여 적은 양의 빛을 반사하고 반대로 검은 막대 사이의 하얀 부분은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합니다. 반사된 빛의 양의 차이는 스캐너 안에 있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과하면서 빛의 강약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로 바뀌고, 이렇게 바뀐 신호는 0과 1로 컴퓨터로 입력되어 우리가 알아 볼 수 있는 문자 및 숫자로 나타나게 됩니다.


◆ 바코드(Bar Code)의 종류와 구성

국제표준바코드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전세계 100개국이 넘는 국가가 사용하고 있는 EAN코드와 미국과 캐나다에서 사용하고 있는 UPC코드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EAN코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과거 국내에서는 KAN코드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전세계 공통으로 EAN코드를 공식명칭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대외적으로 EAN KOREA로 불리고 있습니다.

EAN코드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EAN-8, EAN-13, EAN-14, EAN-128코드 등이 있으며 'EAN-13'이 표준형코드입니다. EAN-13은 제조업체코드의 부여에 따라 표준형코드, 다품목코드, 의약품코드로 나눌 수 있고, EAN-8은 단축형 코드로서 상품의 인쇄표시 면적이 담배갑보다 작은 경우 등에 보통 사용합니다.

상품에 표시하는 바코드의 크기는 표준형의 경우는 가로 3.73cm, 세로 2.7cm 크기를 기준으로, 단축형의 경우는 가로 2.66cm, 세로 2.20cm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0.8~2배의 범위내에서 축소, 확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988년 EANA(European Article ering Association)로부터 국가코드를 부여받아 한국유통정보센타에서 각 제조업체 코드를 등록하여 상품에 바코드 심볼을 부착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KAN 코드에는 표준형 13자리와 단축형 8자리의 두가지가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표준형 코드의 구성

1. 국가 코드(3자리) : 국가를 식별하는 코드로 우리나라의 경우 '880'을 사용

2. 제조업체 코드(4자리) : 제조원 또는 판매원에 부여하는 코드로 각 업체를 식별하는 코드

3. 상품품목 코드(5자리) : 제조업체코드를 부여받은 업체에서 자사의 상품별로 식별하여 부여하는 코드

4. 검증 코드(체크 디지트)(1자리) : 바코드의 오류를 검증하는 코드로 앞의 숫자를 조합하여 나오는 코드


◆ 단축형 코드의 구성

1. 국가 코드 : 국가를 식별하는 코드로 우리나라의 경우 '880'을 사용

2. 제조업체 코드 : 표준형을 취득한 업체에 한하여 부여하는 3자리 코드

3. 상품품목 코드 : 상품식별을 위한 코드로 10개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4. 검증 코드(체크 디지트) : 앞의 7자리를 계산하여 나오는 오류 검증 코드


단축형의 심벌이 사용되는 기준은 나라마다 틀리지만 상품의 인쇄표시 면적이 담배갑보다 작은 경우 등에 보통 사용합니다.

 

◆ 2차원 바코드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바코드는 막대선의 굵기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만 정보를 표현할 수 있어 단순히 제조회사와 상품번호에 해당되는 숫자만 기록되어 있을 뿐 상품의 가격, 무게, 크기와 같은 정보는 들어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바코드를 읽어서 자동으로 계산이 되도록 하려면 코드 번호에 따른 상품 번호와 가격 등의 정보를 미리 등록해 놓아야 합니다.

즉, 각 상품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놓아야 자동으로 계산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한 예로, 도서관에 있는 책의 바코드를 슈퍼마켓의 스캐너로 읽으면 바코드에 기록되어진 숫자는 읽을 수 있지만 컴퓨터는 그 책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어떤 제품인지 알 수가 없게 됩니다. 그런데 최근 가로와 세로 방향에 모두 정보를 담을 수 있는 2차원 바코드가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문자, 숫자 등 3000여 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에서는, 바코드 자체에 제조회사와 제조일시, 가격 등의 정보가 포함돼 있어, 미리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해 놓고 있지 않아도, 판독기가 바코드를 읽기만 하면 바로 컴퓨터 화면에 상품의 자세한 정보가 나타나며 자동 계산을 할 수 있게 됩니다.

 

◆ 바코드(Bar Code)의 판독원리

바코드의 검은(어두운) 바와 흰(밝은) 바의 반사율 차이를 스캐너가 전기신호로 바꾸게 된다. 아날로그인 전기신호의 폭을 디지털인 '1' 과 '0'으로 나타내어 그 조합에 해당되는 숫자를 판별한다. 끝으로 체크디지트가 확인되고 그것이 올바르면 스캐닝이 중단됨으로써 동일상품의 심벌에 대한 복수등록이 방지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바코드(Bar Code)의 사용효과

- 정보처리가 정확하다 - Data 입력이 신속하다.

- 작업장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 기존 시스템의 변형이 필요없다.

- 기구부가 없어 고장이 적다 - 인건비와 관리비 등의 유지비를 절감시킨다.

- 운영에 숙련이 불필요하다.                                                                                  (글쓴이 : 삼천리0517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