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집] 연·근해 지도가 뒤바뀌고 있다
- 온난화론 설명 불가 바닷고기 미스터리
- 경북 울진에 있는 국립 수산과학원 동해특성화연구센터 소속 남명모 연구원은 지난 8월 말 깜짝 놀랄 만한 소식을 전해 들었다. 평소처럼 동해안 항구 곳곳을 둘러보다 “지난 8월 중순을 전후해 경북 영덕군 대진항 연안에 쳐둔 정치망(定置網ㆍ연안에 고정시킨 그물로 대량어획에 주로 쓰임)에서 ‘별복’이 하루에 50~60마리씩 다량으로 잡힌다”는 보고를 접한 것이다. 연구소로 돌아와 동해안 인근 항구와 선창가 사정을 탐문해 보니 “대진항뿐 아니라 인근 울진항과 강구항에서도 별복이 그물에 걸려 올라온다”는 소식이 계속 들어왔다. 복어목 참복과에 속하는 별복은 그동안 아프리카 남부와 뉴질랜드 인근의 수심 100~400m 깊은 바다에 주로 서식하는 아열대성 어종으로 알려져 왔다. ‘검푸른색 몸통에 흰 반점이 머리부터 꼬리까지 빽빽하게 흩어져 밤하늘의 별처럼 보인다’하여 별복으로 불린다.
물고기 연구를 업(業)으로 삼는 남 연구원 역시 별복 가운데 일부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동중국해 인근 해역, 가까이는 부산과 제주 연해에서 간혹 잡힌 적이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다. 하지만 동해안에서도 별복이 잡힌다는 얘기는 금시초문이었다. 더군다나 경북 영덕 앞바다는 북으로부터 한류성 해류가 내려오는 곳으로 여름철에도 해수욕을 하기 힘들 정도로 수온이 낮은 곳이다. 게다가 조사 결과 동해로 올라오는 별복은 길이만 해도 어른 팔뚝만한 40~43㎝에 달하고, 몸통 높이는 13~14㎝에 달하는 ‘대물(大物)’이었다. 남 연구원은 “동해안은 바닷물 표층 온도는 상당히 서늘하지만 수심이 깊어 물속 에너지가 응축되기 때문에 물속 온도는 오히려 수심이 얕은 서해나 남해보다 따듯한 편”이라며 “지구온난화로 종전보다 수온이 상승한 난류를 타고 별복이 동해안까지 북상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 한반도 인근 수온 40년간 0.9~1.1도 상승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지도가 뒤바뀌고 있다. 여름철에도 수온이 낮았던 동해안에서 그동안 볼 수 없었던 별복, 참다랑어, 가다랑어 같은 아열대성 물고기가 속속 그물에 걸리고 있다. 지난 2004년까지만 해도 주로 동중국해와 제주도 주변에서 많이 잡힌 갈전갱이를 비롯한 아열대성 어종들도 매년 북상을 거듭해 대한해협 부근까지 치고 올라왔다.
일조량이 풍부하고 수온이 따듯한 남해안에 주로 머물던 멸치와 고등어 등 난류성 물고기들도 서해안 인천 앞바다까지 북상을 계속하고 있다. 멸치, 고등어의 북상과 함께 동남아 인근 아열대 해역에 주로 머물며 멸치와 고등어를 먹이로 삼는 백상아리(백상어)도 먹잇감을 따라 인천 앞바다 등지에서 자주 출몰하고 있다. 멸치와 고등어를 잡는 어민들은 쾌재를 부르고 있지만, 바닷속에서 ‘물질’로 먹고사는 해녀들은 백상아리의 잦은 출몰로 공포에 떨고 있다.
이처럼 바다지도가 바뀌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해양수산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기후온난화 △바다오염 △인공활동증가 등 여러가지 ‘설(說)’들만 분분하다. 다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바닷물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수산과학원을 비롯한 관계 기관에서도 “기후온난화에 따른 표·중층 바닷물의 수온상승으로 매년 난류성 물고기들의 서식해역이 북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실제 한반도 삼면을 둘러싼 바다 수온을 측정해온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지난 40년 전에 비해 동해는 0.9도, 남해는 1.14도, 서해는 1.09도가량 (표층)수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과학원의 한 관계자는 “비록 1도 내외의 미세한 온도 변화지만 바다에 사는 물고기에 전해지는 스트레스는 수온 변화 전에 비해 5~10배가량에 달한다”고 말했다.
-
- 이러한 수온상승의 영향으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한류성 어종들의 ‘실종’이다. 과거 동해안에서 잡히던 도루묵, 임연수어(林延壽魚)와 같은 한류성 어종들은 요즘 거의 자취를 감췄다. 도루묵과 임연수어는 올해 9월까지 각각 1180t과 156t가량만이 잡혔을 뿐이다. 이는 동해안 전체 어획량(12만3689t)중 각각 1%, 0.1%를 차지하는 미미한 비율이다. <표 참조>
- 동해수산연구소 현상금 내걸고 명태 찾기
한때 ‘검푸른 바다 밑에서/ 줄지어 떼지어 찬물을 호흡하고/ 살기좋다는 원산 구경이나 하고/명태, 명태 이 세상에 남아있으리라’라는 가곡의 소재까지 됐던 명태(明太) 역시 자취를 감춘 지 오래다. 명태는 예로부터 그 쓰임새가 다양해 △생태(살아있는 명태) △건태(말린 명태) △황태(얼렸다 말린 명태) △코다리(코를 꿰어 반쯤 말린 명태) △노가리(명태 새끼) △게맛살(명태 살) △명란젓(명태 알) △창란젓(명태 창자) △아가미젓(명태 아가미) 등으로 활용된 동해안 대표 어종이다. 수온 10~12도 사이에서 서식하는 명태는 차가운 한류를 타고 동해안 인근으로 내려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동부해안과 북한 원산 앞바다가 주 서식지로 북방에서 내려오는 생선이라고 해서 ‘북어(北魚)’로 부르기도 한다.
-
- ▲ 동해수산연구소에서 제작한 ‘명태 수배’포스터.
- 하지만 명태는 지난 2000년 이후 연간 1000t 미만으로 잡히고 있는 실정이다. 1980년대 초반 연간 16만t가량 잡히던 것에 비하면 160분의 1로 어획량이 급전직하한 것이다. 농림수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심지어 지난 2008년에는 단 1t의 어획도 올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과학원의 한 관계자는 “국산 명태 어획량은 ‘제로’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했다. 지난 11월 22일에는 사라진 명태의 창자 대신 민물생선인 중국산 메기 내장으로 창란젓을 만들어 팔던 업자들이 관세청에 적발되기도 했다. 수협 관계자는 “명태는 러시아 등지에서 우리 어선이 입어료를 지불하고 들어가서 잡아오는 물량이나 수입 물량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라며 “겨울철 동해안 황태덕장에 걸려있는 명태는 대부분 블라디보스토크 등에서 속초항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러시아산(産)”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계 기관의 ‘명태 살리기 작전’까지 벌어지고 있다. 강원도 강릉에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에서는 ‘동해안 살아있는 명태를 찾습니다’란 포스터를 제작해 아예 현상금까지 내걸었다. 동해수산연구소의 관계자는 “명태 산란철인 겨울철에 치어를 포획해서 활어로 제공하는 어민들에게 시가의 최대 10배에 달하는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라며 “일정기간 성장시킨 명태의 치어는 명태 주산지인 강원도 고성해역에 방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